OKR 실천편
저자 : 아마노 마사루
옮긴이 : 김윤경
출판사 : 한국경제신문
1판 1쇄 발행, 2019년 11월 22일
1판 3쇄 발행, 2020년 8월 20일
총 페이지 : 175page
읽은 날짜 : 2021. 3. 31 ~ 4. 8
추천 점수 : 8.8
추천 대상 : 회사 중간관리자
핵심키워드3가지 : #리더, #Object, #KeyResult
1. 읽게 된 계기
OKR 기본편을 읽고 이 방법을 해볼만 하겠다 생각은 했지만,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몰랐었고, 월급쟁이부자들 추천도서로서 읽게 되었다.
2. 작가 소개
주식회사 에이와 시스템 매니지먼트 컨설팅센터 센터장이며, OKR Japan 첫 수석 퍼실리테이터다. OKR를 소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.
3. 느낀점, 그리고 나에게 유용한 것.
OKR 기본편을 읽었다면, 반드시 읽어봐야 할 책이라 생각된다. 여기에 나온 모든 예시를 바로 해보긴 어렵겠지만, 회사에서 일부 적용해 볼만한 것 부터 시작해 볼 수 있을 것 같다. 그리고 개인적으로도 OKR을 적용했을때 Object는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, Key Result는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, 목표 수준은 달성 확률이 60%~70% 정도의 야심적일 것, 점검 주기는 일주일 단위, 금요일에는 항상 즐겁게 본인의 성과를 보여주는 형태가 효과적이라고 얘기한다.
4. 책을 읽고 실천할 단 한가지
- Object는 가슴 설레는 내용으로 작성한다.
5. 연관지어 볼만한 책
- OKR 기본
6. 핵심 내용.
[프롤로그]
[4p] 리더의 역할은 목표를 명확히 하는 일, 여러 명의 능력을 활용해 한 사람이 할 수 없는 일을 이루어 내는 조직이 바로 팀이다.
[9p] 팀의 터크만 모델 : 형성기-혼란기-규범기-기능기-해방기
[11p] 리더십의 네가지 유형(상황적 리더십 이론에 의한 분류)
[OKR의 기본]
[27p]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목표를 결정하는 과정에 직접 참가하는 것이다.
[31p] OKR의 4가지 원칙 : 집중(중요한 것을 선택해 자원을 집중), 정렬(여러개의 요소 사이에 정합을 취하는 일), 추적(상황이 어떻게 되어가는지 추적), 도전(현재 상태에서 한층 더 높은 곳으로 도전)
[36p] 핵심 결과치의 목표를 설정할 때 달성 확률이 60~70퍼센트나 될 정도로 야심적이어야 한다. 핵심 결과지표를 3~5가지로 설정한다. (이점: 달성하면 큰 성과가 나온다, 실패가 허용된다., 새로운 아이디어가 창출되기 쉽다, 대립하기 어려워진다)
[OKR의 시작]
[68p] 마일스톤을 정한다. 3개월 정도의 짧은 주기로 3개월 후에 어떻게 되어 있을지를 정성적인 표현으로 나타낸 것이 바로 목표다
[69p] Object는 야심적이어야 하고, 더 가슴 설레고 동기 부여가 되는 목표로 설정한다
[75p] 핵심 결과지표가 세가지 정도로 정해지면, 우선순위를 매긴다.
[76p] 핵심 결과지표는 SMART로 (Specific 구체적으로, Measureable 측정가능한, Achievable달성가능한->Ambitious 야심적인, Relevant 관련된, Time-bound 기한이 있는)
[팀내 OKR의 사용]
[93p] 매일 점검 - 개인이 현재까지의 하루를 되돌아보고 어떠한 행동을 했는지 확인해 내일 하루를 어떻게 보낼지를 결정. 하루에 한번, 최대 15분 이내. 가급적 이른 오전시간에.
[99p] 적어도 하루에 한번 가능한 한 높은 빈도로 행동 상황을 갱신한다.
[102p] 목표 달성을 동시에 손가락을 올리는 방법으로 평가한다. (동시에 평가해야 각자의 점수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.) 단순하지만 점수로 표명하면 목표에 관해 구체적으로 생각해게 된다.
[124p] 매일 점검에 각자 보고(어제 한 일, 오늘 한 일, 목표와 핵심 결가지표 달성을 방해하는 장애물)
[조직 내 OKR의 사용]
[150p] 3개월이 지난 시점에 사례 발표를 한다. 이유는 첫째, 자신들의 변화를 스스로 인식하게 하기 위해서, 좋은 성과를 낸 팀이 발표를 한다. 둘째는, 지식 축적을 위해서이다.
[152p] 작은 그룹으로 만들면 질문하기 쉬운 분위기가 형성되고, 함부로 그 그룹을 빠져나가기 어려워 진다.
'독서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독서후기] 문제는 무기력이다 - 박경숙 (0) | 2021.12.29 |
---|---|
[독서후기] 몰입 - 황농문 (0) | 2021.05.28 |
[독서후기] 시작의 기술 - 게리 비숍 (0) | 2020.12.25 |
[독서후기] 부의 인문학 - 브라운스톤(우석) (0) | 2020.11.22 |
[독서후기] 조훈현,고수의생각법 - 조훈현 (0) | 2020.10.08 |